기관소개
기관소개
MISSION
미션
장애인의 직업능력 고취를 통한 지역과의 동행을 선도하는 기관
VISION
비젼
장애인직업재활 연계(동행) 모델의 실천으로 자립의 기반 마련
핵심가치
직업재활의 초석
직업재활서비스의 접근이 어려운 중증장애인이 직업재활을 경험할 기회 제공
자립생활의 기초
직업의 필요성과 자립의 당위성에 대한 습득
꿈의 실현
고용이 어려운 중증장애인의 고용을 실현
운영방침
Encourage
격려
Encourage
훈련생과 가족을 격려하는 센터
Understand
이해
Understand
훈련생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센터
Merry
즐거운
Merry
모두가 즐거운 센터
Talk
소통
Talk
훈련생 및 보호자와 소통하는 센터
Effort
노력
Effort
양질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연구하고 노력하는 센터
Offer
제공
Offer
개인별 특성에 맞는 교육을 제공하는 센터
전략목표
중장기발전 계획
2020~2022(단기) | 2023~2025(중기) | 2026~2030(장기) | |
---|---|---|---|
훈련생 역량강화 |
-자기결정(권익옹호)에 기초한 직업훈련 목표 설정 -지역인근 다양한 사업체와의 인프라 구축을 통한 임가공 훈련 물품 조달과 제공 |
-보호고용의 가능성 있는 시설의 업무(작업물) 장기간 훈련을 통한 습득 -일반사업체의 작업업무를 수행하여 작업수행기능향상 |
-훈련생들의 원활한 작업능력을 기대 -작업이나 생산활동을 통한 결과물 또는 기타 프로그램을 통한 공예품 등을 전시하는 등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형태로 발전 |
경험과 현장중심의 직업적응훈련 |
-직업적응훈련 로드맵 수립 -일자리 체험 공간 조성: 경험(체험) 중심의 직업적응훈련 |
-경험과 현장 중심 직업적응훈련 -직무 개발 및 배치, 직무지도 지원 |
-현장 중심 직업적응훈련 -사회인으로서의 홀로서기 지원 |
중증장애인의 자립지원 및 사회통합 |
-업체개발 및 취업연계(훈련생의 10%) -관내 기관 및 지역사회시설과의 MOU체결 |
-업체개발 및 취업연계(훈련생의 20%) -현장적응훈련 및 직무지도를 통한 경제활동과 소득창출 기회 마련 |
-고용전이·취업지원 및 취업 후 사후관리 -취업자 모임(간담회) 구성 -취준생과 구직자 연계를 통한 멘토링 지원(훈련생의 20%) |